현대바둑이 시작 되면서도 여자바둑은 오래동안 관심 밖 이었다.
여자바둑이 남자에 비해 기력도 좋지 않은 것이 사실이고 근현대가 되도록 가부장적 사상이
지배적인 동아시아에서는 여자바둑 인구가 적은 것도 사실이라 관심의 대상이 되기엔 역부족
이었는데 의외로 공산국가인 중국에서 국가차원에서 바둑을 남녀 평등하게 지원하기 시작
하면서 기력이 급상승 하였고 1980년대 이후 10여년간을 여자바둑을 중국이 지배하는 흐름이
이어지게 되었다.
이제는 한국 여자바둑도 최정이라는 불세출의 여자기사가 존재해 세계정상급 기량을 보이며
바둑팬들의 관심을 증폭시키고 있는데 여기서는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세계여자바둑의 판도를
알아보는 차원에서 연도별 여자바둑기사 세계랭킹 TOP3에 대해 살펴 보도록 하겠다.
1980년대 여자바둑기사 연도별 세계랭킹 TOP3 |
연도 | 1위 | 2위 | 3위 |
1986년 | 루이 나이웨이 | 장쉬안 | 펑윈 |
1987년 | 루이 나이웨이 | 장쉬안 | 펑윈 |
1988년 | 루이 나이웨이 | 장쉬안 | 펑윈 |
1989년 | 루이 나이웨이 | 장쉬안 | 펑윈 |
여자바둑이 활성화 되기 시작한 1980년대 후반은 단연 중국 여자바둑이 세계랭킹을 석권하게
되었고 그 중심엔 철녀 루이 나이웨이가 있었다.
여자바둑계에선 독보적인 기력을 선보이다가 당시 중국바둑 1인자 녜웨이핑(섭위평)과 마찰이
생기고 연인이었던 장주주가 천안문항쟁에 참여해 중국을 떠나지만 정상급 남자기사와도 맞짱이
가능했던 유일한 여자기사였다.
루이 나이웨이 프로필
1963년 12월28일생, 1985년 중국기원 입단, 1999년 한국으로 망명 한국기원 소속 기사로 활동
국내 국수전에서 여자기사로는 첫타이틀을 획득해 이슈가 되었는데 예선서는 유창혁을 도전자
결정전에서는 이창호를 격파하며 도전기에 올라 조훈현을 이기고 타이틀을 따낸 것이라 누구도
그녀의 실력에 의문부호를 달수 없는 사건이었다.
루이의 남편은 장주주 9단으로 2003년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 결승에서 부부 맞대결이 성사
되었고 우승은 장주주가 차지해 당시 실력으로 루이가 밀어준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기도 했으나
이듬해인 2004년 대회에서는 유창혁을 꺾고 우승을 차지해 의혹을 불식시키게 되었다.
남자기사들과 겨룬 기전에서도 정상급으로 활약한 루이 9단의 여자기전 성적은 당시 싹쓰리
수준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아무튼 루이 나이웨이는 1986년부터 2004년까지 19년 연속 여자바둑 세계랭킹 1위를 유지했고
2005년 잠시 조혜연에 1위 자리를 빼앗긴후 2006년부터 2012년까지 7년간 정상의 자리를 차지
하게 된 후 50대가 되어서야 바둑여제의 자리에서 내려오게 되었다.
1990년대 여자바둑기사 연도별 세계랭킹 TOP3 |
연도 | 1위 | 2위 | 3위 |
1990년 | 루이 나이웨이 | 장쉬안 | 양후이 |
1991년 | 루이 나이웨이 | 장쉬안 | 양후이 |
1992년 | 루이 나이웨이 | 장쉬안 | 양후이 |
1993년 | 루이 나이웨이 | 장쉬안 | 양후이 |
1994년 | 루이 나이웨이 | 장쉬안 | 펑윈 |
1995년 | 루이 나이웨이 | 장쉬안 | 펑윈 |
1996년 | 루이 나이웨이 | 장쉬안 | 펑윈 |
1997년 | 루이 나이웨이 | 장쉬안 | 펑윈 |
1998년 | 루이 나이웨이 | 조혜연 | 장쉬안 |
1999년 | 루이 나이웨이 | 조혜연 | 장쉬안 |
루이 나이웨이가 정상을 달리던 시절 10년 넘게 2인자 자리를 차지했던 여자기사는 장쉬안이다.
장쉬안은 1968년생으로 창하오의 부인으로도 유명한데 나이차가 8살 차이나는 연상연하 커플로
결혼 당시 화제가 됐었던 사건이다.
한때 중국 바둑의 1인자로 잘나가던 창하오가 왜 큰누이뻘 되는 장쉬안과 결혼을 했는지 의문인데
장쉬안이 미모가 뛰어난 기사도 아니었기 떄문이다.
당시 중국바둑계는 부부기사가 많았던 것도 사실로 바둑두다가 정이 들었나 하는 생각이다.;;
1980년대와 90년대 여자바둑 3인자는 펑윈 9단인데 지금은 미국과 캐나다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1990년대 초반 세계랭킹 3위에 올랐던 양후이는 조대원(차오다위안) 9단의 부인이기도 하다.
한국에서는 1990년대 말에 천재소녀 조혜연이 나타나 루이에 이어 세계랭킹 2위에 오르게 되는데
무려 7년간 루이의 벽을 넘지 못하고 넘버2로 만족하다가 2005년 드디어 여자랭킹 1위에 오르게
된다.
2000년대 여자바둑기사 연도별 세계랭킹 TOP3 |
연도 | 1위 | 2위 | 3위 |
2000년 | 루이 나이웨이 | 조혜연 | 장쉬안 |
2001년 | 루이 나이웨이 | 조혜연 | 장쉬안 |
2002년 | 루이 나이웨이 | 조혜연 | 장쉬안 |
2003년 | 루이 나이웨이 | 조혜연 | 장쉬안 |
2004년 | 루이 나이웨이 | 조혜연 | 박지은 |
2005년 | 조혜연 | 루이 나이웨이 | 박지은 |
2006년 | 루이 나이웨이 | 조혜연 | 박지은 |
2007년 | 루이 나이웨이 | 조혜연 | 박지은 |
2008년 | 루이 나이웨이 | 리허 | 차오스야오 |
2009년 | 루이 나이웨이 | 리허 | 차오스야오 |
여자바둑의 정상권은 주로 장기집권하는 추세이다.
루이 나이웨이가 20세기와 21세기에 걸쳐 여자바둑 여왕으로 군림중이고 혜성처럼 등장한 한국의
조혜연도 10년간 여자바둑 2인자로 군림 했으며 장쉬안도 20년 가까이 세계정상에 머무르다가
2003년을 끝으로 내리막길을 걷게 된다.
박지은 9단은 한국여자기사중 가장 먼저 9단에 오른 기사로 세계여자바둑대회에서 우승경력도
있는 기사지만 아쉽게도 세계랭킹 2위에는 오르지 못하고 짧게 정상권을 밟다가 내려오게 되었다.
2010년대 여자바둑기사 연도별 세계랭킹 TOP3 |
연도 | 1위 | 2위 | 3위 |
2010년 | 루이 나이웨이 | 리허 | 차오스야오 |
2011년 | 루이 나이웨이 | 위즈잉 | 최정 |
2012년 | 루이 나이웨이 | 최정 | 위즈잉 |
2013년 | 위즈잉 | 최정 | 루이 나이웨이 |
2014년 | 위즈잉 | 최정 | 루이 나이웨이 |
2015년 | 위즈잉 | 최정 | 루이 나이웨이 |
2016년 | 위즈잉 | 최정 | 오유진 |
2017년 | 최정 | 위즈잉 | 오유진 |
2018년 | 최정 | 위즈잉 | 김채영 |
2019년 | 최정 | 위즈잉 | 오유진 |
2010년대 세계여자바둑은 루이의 26년 제위기간이 끝나는 시기로 세대교체가 이뤄지는 시기고
또한 그동안 중국이 점령했던 여자바둑 판도가 한국으로 넘어오는 시발점이 된 시대이기도 하다.
세대교체의 선봉장은 중국의 위즈잉과 한국의 최정으로 먼저 세계정상에 오른 기사는 위즈잉
이었고 그뒤를 이어 최정이 정상에 오르게 된다.
또한 한국의 오유진과 김채영도 세계랭킹 탑3에 이름을 올리며 정상권 기사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2020년대 여자바둑기사 연도별 세계랭킹 TOP3 |
연도 | 1위 | 2위 | 3위 |
2020년 | 최정 | 위즈잉 | 저우홍위 |
2021년 | 최정 | 위즈잉 | 저우홍위 |
2022년 | 최정 | 위즈잉 | 저우홍위 |
2023년 | 최정 | 위즈잉 | 우에노 아사미 |
2020년대 들어선 2023년까지 최정이 세계랭킹 1위를 7년 연속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의 위즈잉은
2인자 자리를 유지하게 되며 중국의 신예기사 저우홍위가 한국기사들의 넘버3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고 일본 여자기사로는 처음으로 우에노 아사미가 2023년 세계랭킹 3위에 오르게 된다.
현재 최정을 넘어설 여자기사가 보이지 않아 당분간은 최정의 바둑여제 권좌는 유지될 것으로
보여지는데 차기 대권을 노려보는 기사로는 중국의 저우홍위, 일본의 우에노 아사미, 한국의
김은지가 꼽히고 있다.
'E-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센코배 월드바둑 여류최강전 / 센코컵 역대대회 결과 (0) | 2023.03.01 |
---|---|
바둑기사 세계랭킹 프로기사 연도별 세계순위 탑3 1980년~2023년 (0) | 2023.01.08 |
춘란배 세계바둑대회 역대대회 성적 및 역대우승자 (0) | 2022.12.12 |
최정이 장기 집권중인 여자바둑랭킹, 여자프로기사 순위 (0) | 2022.10.06 |